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모든것/생활정보

바뀌는 25만원 청약통장 사용법 쉽게 이해하기

반응형

청약 통장이 통합되고 인정 한도가 25만원으로 상향되며 금리나 혜택등이 개선되는 등 파격적으로 바뀌는 이번 정책에 대해 해지해야되나 말아야되나, 대체 뭐가 얼마나 바뀌길래 이렇게 화제인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청약 통장에 대해 이번 기회로 처음 알아보시거나 기존 가입자들이 알아야 할 내용들은 어떤것들이 있을지 정리하여 알려드리려 합니다.

 

 

 

청약통장이란?

 

우리가 말하는 청약 통장은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이죠, 이 통장 하나로 민간분양과 공공분양 청약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민간분양

 

민간분양은 내가 청약하려는 곳의 지역과 면적에 따라 금액의 기준이 있습니다. 이 기준만 맞추면 청약 통장으로 신청이 가능한데요, 예를들어 내가 서울의 전용 85 제곱미터 이하의 집을 분양받는다라 치면, 기간 불문하고 300만원만 채워져있으면 청약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청약을 한다는 소식만 알면, 공고가 뜨기전에 300만원,600만원,1000만원을 일시불로 넣어도 가능합니다. 간단하죠?

구분 특별시 및 부산 기타 광역시 일반지역
전용 85 이하 300만원 250만원 200만원
전용 102 이하 600만원 400만원 300만원
전용 135 이하 1000만원 700만원 400만원
모든 면적 1500만원 1000만원 500만원

 

공공분양

 

어려운게 공공분양이죠, 얼마나 많이 넣었는지만 보는게 아니라 얼마나 오랫동안 넣었느냐도 보는게 공공분양입니다. 오랫동안 이란 말은 이전 인정금액이였던 월 10만원을 얼마나 꾸준히 넣어서 얼마가 쌓여있느냐가 곧 점수라고 보시면됩니다. 예를들어 어떤 아파트의 공공분양 공고가 떳는데 청약 통장 커트라인이 1000만원더라 하면 10만원씩 100개월, 8년 4개월 동안 한달도 빼먹지 않고 10만원씩 꾸준히 넣은 사람들이 당첨되었다는 얘기입니다.

 

바뀌는 청약 통장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

 

지금은 은행에가서 청약 통장 만들러왔다 하면 만들어주는것은 단 하나 주택청약 종합 저축 통장입니다. 이 통장이 시행된 때는 15년 전인데요 15년 전엔 청약 저축, 청약 예금, 청약 부금등의 여러 청약 통장이 있었으며 용도가 다 달랐습니다. 청약 저축은 공공만 되고 청약 예금 및 부금은 민간만 되는 등의 제한적인 조건이 있던 통장이였는데요, 이걸 한꺼번에 묶어버린게 주택 청약 종합 저축입니다. 그동안은 청약 예금 및 저축을 하던 사람들이 종합 저축으로 넘어가려면 납입 이력이 상실되기때문에 가지고만 있었던 분들이 많았는데 10월1일부터 종합 저축으로 전환해도 납입 이력이 승계됩니다. 은행에 가셔서 종합 저축으로 전환하러 왔다고만 하시면 됩니다.

 

 

한달 인정금액  10만원 > 25만원

 

11월 부터 납부하는 금액에 대해 월 25만원까지 청약 납입 금액이 인정됩니다. 그 동안 납입을 소홀히 했던 사람들에겐 따라잡을 수 있는 기회를, 신규로 가입하는 사람들에게는 늦게나마 희망을 가질수 있게하는 정도의 금액 상향이라 보입니다. 다만 25만원은 청년에겐 조금 부담이 될 수 있기때문에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 더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기존 납입자들도 25만원을 따라간다 치면 아마 전체적인 금액 커트라인도 같이 올라갈것으로 보입니다. 한달 25만원 청약 통장에 넣을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겐 좋은 제도라 봅니다.

 

Q & A

 

1.청약 통장은 처음인데 공공분양에 신청하려면 개월수가 중요한가요?

 

> 보통 개월수라 말하는건 월 납입 인정금액을 모두 채운 개월수를 말합니다. 공공분양의 청약은 금액 커트라인으로 보면되는데요 예를들어 2만원씩 12개월 납부한 A씨와 10만원씩 3개월 납부한 B씨를 비교한다면

A씨는 2X12 = 24만원

B씨는 10X3 = 30만원

으로 B씨가 더 유리하다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월 납입 인정금액을 꾸준히 채우는게 중요합니다.

 

2.은행에 청약 통장 물어보면 잘 모르던데 대체 어디서 물어봐야하나요?

 

> 은행원들 업무는 사실 청약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그냥 통장만 만들어주는곳이고 잘 모를수밖에 없는데요 청약 관련해서는 국토교통부나 주택도시공사 콜센터에 물어보시는게 정확합니다.

 

 

국토교통부

주거 안정으로 민생을 회복하고 국민의 미래를 준비하겠습니다!

www.molit.go.kr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임대보증금보증, 분양보증 등 주택보증 업무, 주택도시기금 전담 운용.

www.khug.or.kr